EC2까지는 어찌저찌 알아봤으니 이제 다음 단계로 넘어갈 차례입니다. 시작 템플릿!
템플릿이라는 말은 여기저기서 많이 들어봤습니다. 이 블로그에도 템플릿이 있습니다. 템플릿은 사전적인 의미도 미리 만들어진 틀을 말하는데요, 그러니까 시작 템플릿이라는 말은... 아마도 아마존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설정들을 모아둔 곳일 듯 합니다.
시작 템플릿 부분에 관해서도 모르는 용어들이 너무너무 많아서 구글에 열심히 검색을 해봤는데...
역시 아마존 공식 설명들이 상위에 먼저 노출됩니다. 자체적으로 친절하게 설명을 많이 해두긴 했는데... 이 설명조차 어렵습니다..ㅠㅠ
시작템플릿에 대한 공식 사이트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작 템플릿은 인스턴스 구성 정보를 지정한다는 점에서 시작 구성과 동일합니다. 시작 템플릿 버전 관리를 사용하면 전체 파라미터 세트의 하위 세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해당 세트를 재사용하여 동일한 시작 템플릿의 다른 버전을 만들 수 있습니다.(이하 못 알아듣겠으므로 생략)
시작 템플릿은 아무래도 직접 AWS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깨우치는 게 빠를 것 같습니다. 허허허...
저는 과감하게 시작 템플릿을 건너뛰고! 다른 것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AMI(Amazone Machine Image)
AMI는 아마존에서 서비스 운영을 위해 우리에게 대여하는 컴퓨터의 구성입니다. AMI 카탈로그를 통해 대여 금액이 얼마인지, 어떤 구성인지 알 수 있습니다.
* EBS(Elastic Block Store)
AMI를 알아볼때 나오는 단어 중에 하나가 EBS인데요.
이 이미지에서 저희는 AMI까지 알아봤쬬? 바로 다음에 나오는 Elastic Block Store의 줄임말이 EBS 입니다. [1]편에서 알아본 EC2 instance(아마존에서 제공하는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로 만든, 우리에게 대여해주는 컴퓨터)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저장 장치입니다. 원래 EC2 instance에서 일정정도의 저장 용량을 제공해주는데, OS가 설치된 EBS 볼륨입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EBS 볼륨이 필요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역시 아마존 공식 홈페이지에 잘...😇 EBS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저 스냅샷에 들어가면 됩니다! EBS의 용량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알아본 내용이 많이 없지만 여기까지....! 이제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및 보안이 남았는데, 저기서 알아봐야 할 내용이 많을 것 같거든요. 살짝만 찾아봤는데 역시 모르는 용어들이 너무 많더라구요. 🤯
또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다음번에 자세히 알아봅시다!
뭔가 알아보긴 알아봤지만 많이는 못알아봤네요... 아무래도 AWS를 사용하려면 똑똑한 머리가 필수입니다...
공부...합시다...
AWS 용어 정리 [1] (0) | 2022.12.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