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WS 용어 정리 [1]

백엔드/AWS

by 짱의 조건 2022. 12. 8. 10:47

본문

우리 회사사는 AWS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저도 AWS에 대해서 알아야 하고... 그 사용법을 알아야 하는데... 처음 접하는 AWS에 모르는 단어들이 많이 나옵니다... 안그래도 AWS가 낯선데 말입니다...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갑시당!

 

AWS(Amazon Web Service)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며 인프라를 제공하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입니다.

출처: 아래 출처와 같음

 

한 문장 안에 모르는 단어가 두 개나...😵‍💫

사실 인프라라는 말도 정확히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그럼 세 개... 이정도면 아예 문장 이해가 안된거나 마찬가지 아닙니까?

 

 

* Cloud computing

- Cloud computing : 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팅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로 사용할 수 있는 주문형 서비스입니다. 기업에서 직접 리소스를 조달하거나 구성,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됩니다. 클라우트 컴퓨팅은 매우 유연하며 다기능적인데, 기업은 이를 이용해 변화하는 시장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 간단한 작동 원리 : 네트워크 (대부분 인터넷)을 사용해 사용자가 대여 컴퓨팅 서비스를 요청하고 액세스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에 연결합니다. 중앙 서버는 클라이언트 기기와 서버 간의 모든 통신을 처리해서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출처 : https://cloud.google.com/learn/what-is-cloud-computing?hl=ko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인가요?  |  Google Cloud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헷갈리시나요? 퍼블릭 클라우드 컴퓨팅은 확장 가능한 주문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cloud.google.com

 

이 말은 온라인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데이터 센터인 클라우드에 클라이언트(예를 들면 우리 회사 같은 곳)가 서버 작업을 맡기면, 서버 작업은 클라우드가 합니다.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의 컴퓨터를 이용해 클라우드에 접속한 후, 클라우드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상호작용이란 건 어떤 작업을 수행할 지 요청하고, 클라우드가 거기에 응답하는 거겠지요? 아닐 시 눈물🥲

 

* 인프라?

-  인프라는 워낙 다방면에서 쓰이는 말입니다. 아마 인프라 하면 얼추 생각나는 말들이 있을텐데, 그게 전부 인프라를 설명하는 말이 맞습니다.  IT에서 말하는 인프라란, IT 환경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말합니다.

이 구성요소에는 하드웨어, 소트프웨어, 네트워킹 구성 요소, 운영체제, 데이터 스토리지 등이 있습니다.

 

* IaaS

- 읽을 땐 지맘대로 읽는 것 같습니다. 아이아스, 이에스 등등... 하여간 영어란... 종잡을 수 없습니다. 🤨

- IaaS는 가상 서버 또는 스토리지, 가상 네트워크 등의 리소스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서비스 이용을 통해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는 어려운 말이 정의입니다.

- Interface as a service의 약어인데, 서비스로서의 인프라입니다.

- 인프라 수준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버 OS부터 미들웨어, 런타임, 그리고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까지 직접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실 기존의 서버 호스팅(호스팅 업체의 물리적인 서버를 단독으로 임대/구매하여 사용하며, 서버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와 기술력 까지 제공받는 서비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 처럼 보입니다.

그렇다면 왜 클라우딩 컴퓨팅, 그 중에서도 IaaS라는 말이 있겠습니까... 기존의 서버 호스팅과의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IaaS는 클라우딩 컴퓨팅을 이용한 가상화 기술 덕분에, 서버의 리소스를 확장하거나 줄이는 데 매우 용이합니다. 아주 유연하고 탄력적인 서버 운영(인프라 운영)이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IaaS의 장점으로는 서버의 안정적인 운영이며, 스타트업 회사에 아주 적합하다고 합니다. 실제로 소비되는 리소스와 필요한 리소스만 구매하고 사용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AWS가 이를 강조하며 자체 서비스를 광고합니다.)

- 클라우딩 컴퓨팅의 모델에는 이외에도 PaaS, SaaS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IaaS가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가 가장 넓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라고 합니다. 또 PaaS와 SaaS의 기반이 되는 기술이 IaaS라고 하네요.

 

이제 그만 알아봅시다...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복잡해지는 이 느낌,,,😵‍💫

다음 단계로 넘어가봅시다. 회사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AWS에 접속해봅니다.

 

 

 

😱😵🤯👿🤬 모르는 단어들 투성입니다. 어쩌라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회사원이기 이전에 의지의 한국인, 바로 도장깨기를 하려고 구글에 열심히 검색을 해보는데...! 검색 결과에 아마존 자체 설명 페이지가 많이 등장합니다. 검색 결과 상위에 있으니 들어가 봅니다.

 

이럴수가... 아마존 자체에서 설명을 아주 상세하게 잘 해뒀습니다! 매뉴얼만 읽어도 저 많은 용어들이 뭔지 대에충은 뭔지 알 것 같습니다.

아마존은 친절하게 저 많은 기능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알려줍니다. AWS를 사용하는 법에 대한 무료 강의도 있습니다. 근데 영어임~ 그래도 친절해... 아마존...😇 아까 치솟았던 화가 좀 가라앉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물음표가 머리에 한가득합니다.

 

한 번에 다 하면 소화하기가 힘드니 EC2까지만 딱 알아봅시다. 구글 검색창에 열심히 검색을 해봅니다.

 

*EC2

- EC2는 Amazon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입니다. C가 두 개라서 CC가 아니라 C2네요. 진짜 자기들 맘대로임;

-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름입니다. 가상 컴퓨터를 만들고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컴퓨터 안에서 가상의 컴퓨터를 만든 다음(이 가상의 컴퓨터가 AWS에 존재) 필요한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EC2에서 제공하는 기능 이름이 위의 사진에서 나온... 수많은 모르는...  단어들입니다.

 

* 인스턴스

- EC2로 만든 가상의 컴퓨터 하나를 인스턴스라고 합니다. 우리가 실제로 쓰는 컴퓨터와 다르게 운영체제는 EC2에서 지원하는 운영해주는 OS를 사용해다 한다고 합니다. 친절한 아마존은 서버용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OS를 지원하고 있기에, 필요에 맞는 O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인스턴스 타입

- 인스턴스로 다양한 사양의 가상 컴퓨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당~연히 고오급 성능의 컴퓨터가 이용 요금이 비쌉니다. 어떤 컴퓨터 사양인지를 인스턴스 타입이라고 합니다. 요금이 얼마인지도 친절하게 설명해줍니다. 아마존에서/

 

* 리전(지역)

- region을 리전이라고 읽는게 맞습니까? 진짜 지맘대로 읽네; 영국식인가?

- 우리가 만든 EC2 인스턴스의 위치입니다. 서비스 하고 싶은 곳과 거리가 멀면 멀수록 느립니다.

- 가용 영역(AZ)과 연관이 있습니다.

- AWS의 리전은 일반적으로 3개 이상의 AZ가 있습니다. 서비스를 어느 AZ에 배포할 지는 인스턴스를 만들 때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AZ를 사용하면 비상상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그만합시다... 2편에서 조금 더 알아봅시다...

'백엔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용어 정리 [2]  (0) 2022.12.21

관련글 더보기